지지합
1. 지지 육합(六合)
지지 육합은 12지지가 서로 합하여 6개의 합이 된다는 뜻에서 6합이며 긍정적 의미의 합으로 지혜, 생산, 총명의 의미를 가진다. 지지의 육합은 양기와 음기가 합하여 9성수를 채우는 합이다.
(음양의 기운)
子 +1, 丑 +2, 寅 +3, 卯 +4, 辰 +5, 巳 +6
午 -1, 未 -2, 申 -3, 酉 -4, 戌 -5, 亥 -6
1) 지지 육합(六合)
子 丑 (合) 土 . 寅 亥 (合) 木 . 卯 戌 (合) 火
辰 酉 (合) 金 . 巳 申 (合) 金 . 午 未 (合) 火
子와 丑은 미약한 양기가 가까이서 3으로 합한 것이고
午와 未는 미약한 음기가 가까이서 3으로 합한 것이다.
나머지 글자들은 합하여 9가 되는 숫자의 합으로 보면 된다.
2) 지지 육합의 해석
(1) 子 丑 (合) 土
미약한 양기가 가까이서 서로 합하는 모습으로 비밀스러운 관계나 가까운 관계를 뜻 한다. 북방의 子(水)가 丑(土)과 만나서 土로 변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은 계절과 주변 오행의 세력을 참고하지 않은 판단이다. 예를 들어 子月이나 丑月에 자, 축합(子丑合)이 이루어지거나 사주에 水나 金의 세력이 왕성할 경우에는 자, 축 합은 水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후나 시간개념으로 풀이하더라도 子, 丑月에는 모든 생명체의 발육이 부진하여 움츠러들고 씨앗(水)의 형태로 남아있는 때이며 子, 丑時에는 활동이 거의 중단된 취침시간인 것을 알 수 있다. 육합은 합의 결과물이 무엇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오행에서 상생의 의미처럼 서로 관여하고 돕는 개념으로 정리를 하는 것이 좋겠다.
(2) 寅 亥 (合) 木
寅, 亥합은 12운성으로 볼 때에 木의 장생지(長生地)에 해당하는 亥(水)와 木의 관(官)에 해당하는 寅(木)이 합한 것으로 亥(水가 木을 장생 또는 양육시키는 형태로 합력(合力)이 매우 강하다. 이처럼 寅, 亥합은 생합(生合)으로 육합 중에서 합의 힘과 합화된 오행의 세력이 가장 강하다. 그러나 육합인 동시에 파(破)에도 해당되어 寅, 亥는 선합후파(先合後破)의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선합후파란 합의 힘이 파의 작용과 역할보다 더 강하기 때문에 합의 작용이 먼저 일어나고 그 후에 파의 작용은 약해져 나중에 미미하게 작용하거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3) 卯 戌 (合) 火
卯가 12운성으로 볼 때 火의 묘지(墓地)인 戌과 합하여 火가 되었으나 합화된 火의 작용력은 미약하다. 재주나 예술성이 탁월하고 신분이나 나이 차이가 많은 관계를 뜻 한다. 木이 土를 극하는 형태로서 극합(剋合)이라 하는데 여기서 火의 작용은 물을 끓이거나 나무를 태우는 불이 아니라 뜨거운 기운인 열기(熱氣)정도로 판단한다. 卯, 戌합을 가리켜 도화지합(桃花之合) 또는 음란지합(淫亂之合)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도화살(桃花殺)에 해당하는 卯가 창고에 해당하는 戌에서 은밀하게 만나 열(熱)을 내는 것에 비유하여 그렇게 말한 것이다.
(4) 辰 酉 (合) 金
봄과 가을의 합 또는 무예의 합으로 강압적인 관계를 뜻 한다. 辰이 酉를 생조(生助)하여 金으로 변화 하는 것이다. 辰, 酉합 역시 생합으로 합의 영향력과 합화된 오행인 金의 작용이 강하게 나타난다. 일부에서 辰, 酉합이 土로 변한다는 이론을 펴는데 이는 12운성으로 볼 때 辛의 묘지(墓地)가 辰이라고 하는데서 비롯된 것 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그렇게 판단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다고 본다.
(5) 巳 申 (合) 金
역마와 망신의 합으로 오래가면 서로에게 망신을 가져오는 관계를 뜻 한다. 巳, 申합 水로 되어있는 책들이 있으나 이것은 이치와 논리에 어긋난다 하겠다. 巳는 12운성으로 볼 때 庚(金)의 장생지인지라 巳는 申(金)과 합하여 金으로 변화하는 것이 옳다고 하겠다.
(6) 午 未 (合) 火
미약한 음기들이 서로 가까이서 합을 하는 모습으로 공적, 사회적인 관계를 뜻 한다. 남쪽을 나타내는 午, 未합은 주변의 세력에 의하여 변화 가능성이 높고 火로서의 작용력이 크지 않다고 이해를 하면 된다.
2. 지지 삼합(三合)
삼합은 만물이 탄생하여, 장성하고, 사라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성의 변화를 의미하며 오행의 윤회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이라고 보면 된다. 보다 정확한 과정은
12운성을 통해서 나타나지만 간략하게 핵심적인 설명은 삼합으로도 충분히 표현
할 수 있다.
천간 합과 지지 육합이 음양의 합이라고 한다면 지지 삼합은 12 지지 중에서 음양의 구분 없이 3개의 지지가 합하여 강력한 기로써 동일한 세력을 형성한 것으로 사회적인 합을 의미하며 같은 생각을 가진 친목단체로 시간이 있으면 자주 모이는 모임의 성격을 가진다. 천간 합이나 육합에 비해 강력한 힘을 갖는다. 삼합은 지지가 각자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독자성을 갖지만 일단 삼합을 이루면 각 지지의 개성은 삼합으로 동화(同化)하거나 귀속된다.
삼합의 형태에 따라서 작용력도 달라지고 변화가 많은데 삼합, 준 삼합, 반합, 가합으로 나누어지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겠다. 삼합을 이루는 각 지지는 순서대로 3칸을 전진하여 4번째 지지를 만나게 되는데 예를 들어 12운성으로 볼 때 水의 장생지인 申에서 酉, 戌, 亥의 3지를 전진한 후 12운성으로 볼 때 水의 왕지(旺地)인 子를 만나고 다시 子에서 丑, 寅, 卯 3지를 전진한 후 12운성으로 水의 묘지(墓地)인 辰과 만나 申 子 辰 삼합을 이루는데 그 중심을 이루는 子의 오행 속성에 따라 수국(水局)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4개의 삼합이 이루어지는데 앞의 수국(水局)을 시작으로 亥, 卯, 未 목국(木局)과 寅, 午, 戌 화국(火局), 巳, 酉, 丑 금국(金局)으로 이루어진다. 한마디로 말해서 삼합은 12운성으로 장생과 제왕 그리고 입묘의 합이라고 보면 된다. 삼합이 정확히 완성되려면 3개의 지지가 모두 있어야 되는데 이러한 합을 일명 진합(眞合)이라고 한다.
1) 삼합의 종류
(1) 申 子 辰 (水局)
申 子 辰이 삼합을 하면 수국(水局)을 이루는데 12운성으로 볼 때 申은 水가 지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장생지이고 子는 水가 제일 힘이 강한 제왕지에 해당하며 辰은 水가 목적을 마치고 모습을 감추는 묘지에 해당 된다. 이렇게 水가 12운성을 통해서 보듯이 윤회하는 모습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장생과 제왕 그리고 묘지를 모아서 강력한 국을 이루는 삼합을 만들어 낸 것이다.
(2) 亥 卯 未 (木局)
亥 卯 未가 모이면 삼합이 되어 목국(木局)을 이루는데 12운성으로 木은 亥에 장생을 하고 卯에 제왕이 되며 未에 입묘를 하게 된다. 이렇게 木국을 이룬 삼합이 사주에 있으면 木은 상승하는 기(氣)가 있어 하늘을 향해 곧게 뻗는 성질이 있고, 남에게 고개를 숙이거나 지는 것을 싫어하며 한번 결정한 일은 좀처럼 뒤집지 않으려는 고집이 있어 곡직(曲直)이라고도 한다. 성실하고 창조적이며 인정이 많고 적극적이나 우월감과 자존심이 너무 강한 것이 단점일 수도 있다.
(3) 寅 午 戌 (火局)
寅 午 戌은 삼합이 되어 화국(火局)을 이루는데 이것을 하루의 시간을 통하여 설명을 해 보겠다. 하루의 시간 중에서 火를 상징하는 태양이 아직 떠오르지는 않았지만 어둠이 걷히고 날이 밝아 오는 시간은 寅시 새벽(3~5시) 무렵이고 태양이 가장 높고 뜨거운 시간이 午시 낮(11~1시) 무렵이며 戌시 저녁(7~9시)이 되면 해는 지고 서서히 어둠이 깔리는 시간이 된다.
(4) 巳 酉 丑 (金局)
巳 酉 丑이 삼합을 이루면 금국(金局)이 되는데 금국은 단단하고 강하며 겉보기에는 냉정하고 차가우나 속으로는 여린 면이 있다. 정의를 위해서는 죽음을 불사하며 과감하고 신속함이 있어 군인이나 경찰계통의 행동력이 필요한 곳에 적당한 기질이라고 볼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 맺고 끊는 것이 너무 확실해 한편으로는 냉혹함이 있으며 좀처럼 자기의 속마음을 노출시키지 않는 점에서 속 마음을 알 수 없는 베일에 가려진 사람이 되어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2) 준 삼합(準三合)
삼합은 오행의 속성상 2 개의 지지만 있는 경우에도 합으로 간주
하는데 그 종류에는 준삼합(準三合)과 반합(半合) 또는 가합(假合)이 있다. 반합도 운에서 만나면 글자의 성질을 변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예) : 寅 午 戌 (三合)
⑴ 戌이 없고 寅 午만 있는 경우 (준삼합)
⑵ 寅이 없고 午 戌만 있는 경우 (반합)
⑶ 午가 없고 寅 戌만 있는 경우 (가합)가 된다.
작용력이 강한 순서로는 준 삼합이 가장 강하고 다음으로 반합이 강하며 마지막 가합이 가장 약하다고 하겠다. 그 이유는 지지 삼합이 子, 午, 卯, 酉의 4왕(四旺)지지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까닭이다.
3. 방합(方合)
방합(方合)이란 방위(方位)를 중심으로 하는 지지의 합이고 계절의 합으로 춘하추동 사계절의 작용력도 함께 사용한다. 삼합과 마찬가지로 3개의 지지가 모여서 합을 이루는데 삼합과 다른 점이 있다면 삼합은 지지의 특성 중에서 필요한 것끼리 골라서 짝을 이룬 것이라면 방합은 가까이 있는 형제의 합으로 어려울 때 강하게 모이는 힘이 있고 사주명조의 오행 강약을 구분 할 때 적용한다.
방합은 계절이 같은 3개의 지지가 차례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예를 들면 봄에 해당하는 寅, 卯, 辰이 연이어 있으면 방합이라고 하며 木의 세력이 강해지고 동방(東方)을 나타내며 봄철의 기운이 매우 강함을 의미한다.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등 4개의 방국이 이루어지는데 유의할 점은 방합은 합을 구성하는 3개의 지지 중에서 1개의 지지라도 사주의 월지에 자리하고 있어야 합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월지를 제외한 년지나 일지, 시지에 방합이 되는 3자가 모두 있더라도 이는 방합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삼합에서와 마찬가지로 반합 등과 같이 2개의 지지가 합을 이루는 요건과 작용력은 삼합과 동일하게 해석하면 된다. 삼합과 방합의 작용력을 비교하면 각 지지 끼리의 결속하려는 힘은 삼합이 강하고 오행의 세력으로 본다면 방합이 더 강하다고 본다. 4개의 방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지지 방합 *
寅, 卯, 辰 - 合 - 東方 - 木局 - 봄
巳, 午, 未 - 合 - 南方 - 火局 - 여름
申, 酉, 戌 - 合 - 西方 - 金局 - 가을
亥, 子, 丑 - 合 - 北方 - 水局 - 겨울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